대표적인 족부질환인 족저근막염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족저근막염환자는 2010년 8만 9천명에서 2019년에는 27만 6천여명까지 증가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줄어들었지만 25만명으로 여전히 많다.

족저근막염 환자 증가는 건강해지려고 등산이나 조깅, 배드민턴 등 발을 많이 사용하는 생활스포츠가 늘어났기 때문이란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역설적이게도 건강해지려다 얻는 질환인 셈이다.

연세광우병원에 따르면 족저근막염 등 족부질환의 발생률은 중년층에서 높다.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는 상태에서 운동 부하가 실리면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뼈보다는 인대나 근막 등이 더 쉽게 다치는데, 문제는 운동이 과해서 생기는 운동의 훈장 같은 근육통으로 오인한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근육통과 족저근막염은 엄연히 다르다고 말한다. 연세건우병원 최홍준 원장(정형외과 족부전문의)은 "족저근막염이 있으면 아침에 일어나 첫발을 내딛을 때 통증이 심하거나,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구부리거나 서있을 때 뻣뻣한 느낌과 통증이 발생한다"고 설명한다.

일정시간 움직이면 통증이 줄어들지만, 늦은 오후에 통증이 다시 심해지는 특징을 보인다. 통증 부위는 개인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발꿈치나 그 옆쪽이다. 최 원장은 "족저근막염 역시 치료가 빠를수록 약물치료 등 보존요법으로도 가능하다. 수술을 하더라도 최소절개 수술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한다.

퇴행성 변화로 인한 족부 질환을 줄이는 방법은 발과 발목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과 스트레칭이다. 최 원장에 따르면 엄지발가락을 위아래로 올렸다가 내리는 운동, 바닥에 수건을 깔고 발가락으로 집어 들어 올리는 동작도 도움이 된다. 

익숙해지면 수건 위에 무거운 물건을 놓고 발가락으로 짚어 올려서 강도를 높여간다. 계단에 발을 반쯤 걸친 후 발바닥과 장딴지 당김이 느껴질 때까지 뒤꿈치를 계단 아래로 내리는 스트레칭도 필요하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