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모세포종은 뇌종양 중에서도 악성도는 물론 재발률이 높지만 발생 원인은 정확히 규명돼 있지 않다. 현재까지는 유전이나 방사선, 화학물질, 바이러스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유전체 분석만으로는 원발 및 재발을 예측하기 어려웠다. 이런 가운데 신경세포와 뇌종양 세포 간 네트워크 형성이 교모세포종의 재발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암센터(원장 서홍관) 암단백유전체연구사업단 박종배 단장과 단백체분석팀 김경희 박사는 암단백유전체 분석을 통해 뇌종양의 재발 메커니즘과 치료 저항성 뇌종양에 대한 새 치료전략을 암분야 국제학술지(Cancer Cell)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교모세포종환자 123명. 이들의 유전체와 전사체, 단백체 분석 결과, 암세포와 신경세포의 신경전달물질 상호작용이 재발암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WNT/PCP 및 BRAF 신호 경로가 종양세포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치료 표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동물모델에서는 BRAF 단백체를 억제하는 표적항암제 베무라페닙과 표준항암제 테모달을 병용 투여하자 재발 종양세포의 성장과 진행, 전이가 크게 억제되고 침습능력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기간 역시 눈에 띄게 증가했다.

박종배 국립암센터 암단백유전체사업단장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미국국립암연구소의 협력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